고려 여성의 사회적 지위 변화와 가족법의 특징
고려시대는 한국 역사상 여성의 사회적 지위가 가장 높았던 시기로 평가되기도 한다. 이 시기의 여성은 상속권, 거주지 결정, 호적 기재 방 식 등 여러 면에서 비교적 평등한 위치를 차지하였다. 특히 고려의 가족법은 여성 친족 중심의 구조를 다수 포함하고 있으며, 이는 후대 조선의 가부장적 법체계와는 대조적이다. 본 글에서는 고려 여성의 법적·사회적 지위를 분석하고, 가족법을 통해 그 시대의 성별 질서와 가족 문화의 특징을 조명한다. 호…